목차
rsplit() 예제 - 오른쪽부터 공백 기준으로 쪼개기
rsplit() 정의
rsplit() 구문
rsplit() 예제 - 쉼표와 공백을 구분자로 사용
rsplit() 예제 - # 기호를 구분자로 사용
rsplit() 예제 - maxsplit 설정 시 요소 개수는 maxsplit + 1 개 ★
rsplit() 예제 - 오른쪽부터 공백 기준으로 쪼개기
txt = "홈짱닷컴 Homzzang.com"
x = txt.rsplit()
print(x)
결과값: ['홈짱닷컴', 'Homzzang.com']
rsplit() 정의
오른쪽부터, 문자열을 지정 구분자 (기본값: 공백) 기준으로 잘라서 List 생성.
1.
maxsplit 매개변수 설정 시, List 요소 개수는 maxsplit + 1 개.
maxsplit 매개변수 설정 시만, split() 메서드와 결과 상이 가능.
2. cf.
split() 메서드 : 왼쪽부터 쪼개기 후 List 생성.
join() 메서드 : 반복 가능 객체의 요소를 지정 구분자 기준으로 합치기
rsplit() 구문
string .rsplit(separator, maxsplit )
[매개변수]
separator
선택. 구분자. (기본값: 공백)
maxsplit
선택. 쪼갤 지점 최대 개수.
반환되는 List 요소 개수 : maxsplit + 1 개
maxsplit 설정 시, seperator 매개변수 지정 필수.
rsplit() 예제 - 쉼표와 공백을 구분자로 사용
txt = "홈짱닷컴, Homzzang.com, 코딩강의"
x = txt.rsplit(", ")
print(x)
결과값: ['홈짱닷컴', 'Homzzang.com', '코딩강의']
rsplit() 예제 - # 기호를 구분자로 사용
txt = "홈짱닷컴#Homzzang.com#코딩강의"
x = txt.rsplit("#")
print(x)
결과값: ['홈짱닷컴', 'Homzzang.com', '코딩강의']
rsplit() 예제 - maxsplit 설정 시 요소 개수는 maxsplit + 1 개 ★
※ 이 경우만 split() 메서드와 결과 다름.
txt = "홈짱닷컴 Homzzang.com 코딩강의"
x = txt.rsplit(" ", 1)
print(x)
결과값: ['홈짱닷컴 Homzzang.com', '코딩강의']
주소 복사
랜덤 이동
최신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