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회원가입
  • 로그인
  • 구글아이디로 로그인

[Basic] JS - const (컨스트 = 콘스트) ★★★★★ - 재할당 불가한 변수선언

ECMAScript 2015 (= ES2015 = ES6) 때 도입

 

1.
변수 선언 키워드 2개 새로 도입
const , let

2.
const : 데이터 재할당 X (그외는 let과 유사) 
let     : 데이터 재할당 O.



[const 사용 장점]

 

・Security (보안) : 해커가 값 변경하는 걸 방지.

・Thread Safety : 프로세스 안의 여러 thread가 변수 접근할 때 안전.

・Reduce Human Mistakes : 개발자 실수를 줄여줌.

 


[참고]

JavaScript = ECMAScript + BOM(Browser Object Model) + DOM(Document Object Model)

※ 즉, JS = (1코어 + 2모델)로 구성된 웹언어

 

ECMAScript (이하 ES) 

JS 구성 코어(Core)스크립트 언어로써, 다양한 환경에서 운용될 수 있게 확장성이 뛰어난 웹언어.


더 자세한 정보는 여기 참고

 

const 예제

 

<p id="demo"></p>


<script>

try {

  const hz = '홈짱닷컴';

  hz = 'Homzzang.com';  // const로 앞서 정의된 변수라 에러 발생

  hz = hz + 'Homzzang.com';  // const로 앞서 정의된 변수라 에러 발생

}

catch (err) {

  document.getElementById("demo").innerHTML = err;

}

</script>

 

결과보기
TypeError: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.

 

 

const 특징1 :  블럭 경계 안에서만 유효

 

<p id="hz"></p>


<script>

var  x = "홈짱닷컴";

{  

  const x = "Homzzang.com";

}

document.getElementById("hz").innerHTML = x;

</script>

 

결과보기

홈짱닷컴

 

 

const 특징2 - 선언과 동시에 값이 할당돼야 함.

 

const hz = '홈짱닷컴';

 


 

[바람직 X]

const hz;

hz = '홈짱닷컴';

 

 

 

const 특징3 - 진짜 상수를 정의하는 건 아님.

 

1.
const 키워드는 상수 (a constant value)를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,
값에 대한 항구적인 참조 자체 (a constant reference to a value)를 정의하는 것임.

2.
이런 성격때문에,
항구적인 기초값 (constant primitive values)을 변경할 순 없지만, 
항구적인 객체의 속성 (the properties of constant objects) 변경은 가능.

 

 

const 특징4 - 기초값 변경 불가

 

<p id="demo"></p>


<script>

try {

  const hz = '홈짱닷컴';

  hz = 'Homzzang.com';  // const로 앞서 정의된 변수라 에러 발생

  hz = hz + 'Homzzang.com';  // const로 앞서 정의된 변수라 에러 발생

}

catch (err) {

  document.getElementById("demo").innerHTML = err;

}

</script>

 

결과보기
TypeError: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.

 


 

PS.

 

엘리 님 (JS 3. var, let, const 차이) 강의

https://youtu.be/OCCpGh4ujb8

 



분류 제목
DOM_Element JS - isDefaultNamespace() 메서드 - 네임스페이스가 기본값인지 체크
DOM_Element JS - isEqualNode() 메서드 - 노드 동일여부 비교 (IE9 이상)
DOM_Element JS - isSameNode() 메서드 - 노드 동일여부 비교 (IE9 이상. cf. Firefox 지원X)
DOM_Element JS - isSupported() 메서드 - 지정기능이 지정노드에 지원되는지 확인 (※ 사용 비권장)
DOM_Element JS - lang 속성 - 요소의 lang 속성값 설정/반환
DOM_Element JS - lastChild 속성 ★ = 마지막자식노드 (= lastChild속성 = 라스트차일드 속성)
DOM_Element JS - lastElementChild 속성 - 마지막 자식요소 (IE9 이상)
DOM_Element JS - namespaceURI 속성 - 네임스페이스URI (IE9 이상)
DOM_Element JS - nextSibling 속성 - 바로다음 형제노드
DOM_Element JS - nextElementSibling 속성 - 바로다음 형제요소 (IE9 이상)
DOM_Element JS - nodeName 속성 - 노드명 (= 노드이름)
DOM_Element JS - nodeType 속성 ★ - 노드타입 반환 (읽기전용) ※ 노드유형 = 노트형식 = 노드종류
DOM_Element JS - nodeValue 속성 - 지정노드의 노드값 설정/반환 (= nodeValue속성 = 노드밸류속성)
DOM_Element JS - normalize() 메서드 - 공백제거 후, 인접텍스트노드 합치기 (Element경우)
DOM_Element JS - offsetHeight 속성 - 가시높이 (= 요소실제높이 = 요소높이 height+ + paddi…
DOM_Element JS - offsetWidth 속성 ★ = 가시너비 (= 요소실제너비 = 요소너비 width + paddin…
DOM_Element JS - offsetLeft 속성 - 가시좌측위치 (= 가시왼쪽위치) (IE8 이상)
DOM_Element JS - offsetParent 속성 - static 이외의 position 갖는 최근접조상요소 (= 가장가…
DOM_Element JS - offsetTop 속성 - 가시 상단 위치 (IE8 이상)
DOM_Element JS - ownerDocument 속성 - 노드의 소유자문서를 HTMLDocument 객체로 반환
29/67
목록
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. Since 20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