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Script

[Basic] JS - const (컨스트 = 콘스트) ★★★★★ - 재할당 불가한 변수선언

ECMAScript 2015 (= ES2015 = ES6) 때 도입

 

1.
변수 선언 키워드 2개 새로 도입
const , let

2.
const : 데이터 재할당 X (그외는 let과 유사) 
let     : 데이터 재할당 O.



[const 사용 장점]

 

・Security (보안) : 해커가 값 변경하는 걸 방지.

・Thread Safety : 프로세스 안의 여러 thread가 변수 접근할 때 안전.

・Reduce Human Mistakes : 개발자 실수를 줄여줌.

 


[참고]

JavaScript = ECMAScript + BOM(Browser Object Model) + DOM(Document Object Model)

※ 즉, JS = (1코어 + 2모델)로 구성된 웹언어

 

ECMAScript (이하 ES) 

JS 구성 코어(Core)스크립트 언어로써, 다양한 환경에서 운용될 수 있게 확장성이 뛰어난 웹언어.


더 자세한 정보는 여기 참고

 

const 예제

 

<p id="demo"></p>


<script>

try {

  const hz = '홈짱닷컴';

  hz = 'Homzzang.com';  // const로 앞서 정의된 변수라 에러 발생

  hz = hz + 'Homzzang.com';  // const로 앞서 정의된 변수라 에러 발생

}

catch (err) {

  document.getElementById("demo").innerHTML = err;

}

</script>

 

결과보기
TypeError: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.

 

 

const 특징1 :  블럭 경계 안에서만 유효

 

<p id="hz"></p>


<script>

var  x = "홈짱닷컴";

{  

  const x = "Homzzang.com";

}

document.getElementById("hz").innerHTML = x;

</script>

 

결과보기

홈짱닷컴

 

 

const 특징2 - 선언과 동시에 값이 할당돼야 함.

 

const hz = '홈짱닷컴';

 


 

[바람직 X]

const hz;

hz = '홈짱닷컴';

 

 

 

const 특징3 - 진짜 상수를 정의하는 건 아님.

 

1.
const 키워드는 상수 (a constant value)를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,
값에 대한 항구적인 참조 자체 (a constant reference to a value)를 정의하는 것임.

2.
이런 성격때문에,
항구적인 기초값 (constant primitive values)을 변경할 순 없지만, 
항구적인 객체의 속성 (the properties of constant objects) 변경은 가능.

 

 

const 특징4 - 기초값 변경 불가

 

<p id="demo"></p>


<script>

try {

  const hz = '홈짱닷컴';

  hz = 'Homzzang.com';  // const로 앞서 정의된 변수라 에러 발생

  hz = hz + 'Homzzang.com';  // const로 앞서 정의된 변수라 에러 발생

}

catch (err) {

  document.getElementById("demo").innerHTML = err;

}

</script>

 

결과보기
TypeError: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.

 


 

PS.

 

엘리 님 (JS 3. var, let, const 차이) 강의

https://youtu.be/OCCpGh4ujb8

 



분류 제목
Array JS - forEach() 메서드 ★★ - 각각의 배열값(=배열요소)에 대해 한번씩 함수실행 (= forEa…
Array JS - indexOf() 메서드(배열) ★ - 처음 일치 배열값 위치 찾기 (= 배열값 포함 검사 = 배열…
Array JS - Array.isArray() 메서드 - 배열여부체크 (= 배열인지판단 = Array.isArray메…
Array JS - join() 메서드 - 배열을 문자열로 전환. (= join메서드 = 조인메서드) : 구분자 O
Array JS - lastIndexOf() 메서드(배열) ★ - 마지막일치배열값위치찾기 (= 배열값포함검사 = 마지막…
Array JS - map() 메서드 ★ - 함수 적용 결과값으로 배열 생성 (= map메서드 = 맵메서드)
Array JS - pop() 메서드 ★ - 배열의 마지막 요소 제거 (= 마지막 배열값 없애기 = pop메서드 = 팝…
Array JS - push() 메서드 ★ - 배열 뒤에(=끝에) 배열요소 추가 후, 배열길이(=배열요소개수) 반환 (…
Array JS - reduce() 메서드 ★ - 왼쪽 배열값부터 계산 (= reduce메서드 = 리듀스메서드) ※ 각…
Array JS - reduceRight() 메서드 - 오른쪽배열값부터 계산 (= reduceRight메서드 = 리듀스…
Array JS - reverse() 메서드 - 배열 역순 정렬 (= 배열 순서 뒤집기 = reverse메서드 = 리버…
Array JS - shift() 메서드 - 처음배열값제거 (= 첫배열값제거 = shift메서드 = 시프트메서드) ※ …
Array JS - slice() 메서드 ★ - 선택배열값 갖는 새 배열객체 반환 (= slice메서드 = 슬라이스메서…
Array JS - some() 메서드 - 일부배열값 함수충족여부 체크 (= some메서드 = 썸메서드/섬메서드) ※ …
Array JS - sort() 메서드 ★ - 배열오름차순정렬 (= 오름차순배열정렬 = 소트메서드) ※ shuffle함…
19/89
목록
 홈  PC버전 로그인 일본어
그누앞단언어
그누뒷단언어
그외코딩언어
그누보드
제작의뢰
Q&A
커뮤니티
웹유틸
회원센터
홈짱닷컴 PC버전 로그인